티스토리 뷰
목차
‘청년문화예술패스’는 대한민국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19세 청년에게 공연·전시 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예술 지원 사업입니다. 연극, 뮤지컬, 클래식, 오페라, 발레, 무용, 국악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, 청년들이 예술향유를 통해 문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로 마련되었습니다. 아래 링크를 통해 좀더 상세 내용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.
✅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
① 먼저 ‘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’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. 본인 인증 절차를 통해 신청 자격이 확인됩니다.
② 협력 예매처(인터파크 티켓 또는 YES24 티켓 중 선택)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을 완료한 뒤,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을 진행합니다.
③ 신청 이후 자격 검증 및 패스 발급이 이루어지며, 발급된 패스는 선택한 예매처에서 공연·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✅ 청년문화예술패스 발급 대상
대한민국 국적의 2006년 출생자, 즉 2025년 기준 19세 청년에게 지원되며, 최대 9,350명을 대상으로 운영됩니다.
자격 조건을 따져보면 아래와 같습니다.
분류/유형 | 기준/조건 | 지원 내용 |
---|---|---|
대상 | 2006년생, 만 19세 대한민국 국적 청년 | 온라인 신청 가능 |
지원 인원 | 약 9,350 명 | 패스 발급 |
지원 금액 | 총 15만원 (국비 10만 + 시비 5만) | 예술관람비로 제공 |
장르 | 연극·뮤지컬·클래식·오페라·발레·무용·국악·콘서트·페스티벌·전시 등 | 관람 가능 |
비허용 장르 | 토크 콘서트, 팬미팅, 강연, 종교행사, 아동/가족 장르, 영화제 등 | 지원 제외 |
✅ 청년문화예술패스 지원 금액
지원 금액은 총 15만 원으로 구성되며, 10만 원은 국비, 5만 원은 지방비로 지급됩니다. 지원금은 공연·전시 관람에 사용할 수 있는 문화이용권 형식으로 제공됩니다.
예산은 선착순으로 배정되며, 예산 소진 시 자동 마감됩니다.
✅ 청년문화예술패스 유효기간
신청 기간은 2025년 3월 6일(목)부터 5월 31일(토)까지이며, 관람 가능 기간은 패스 발급일부터 2025년 12월 31일(수)까지입니다.
단, 신청 후 예매 및 사용 기록이 6월 30일까지 없는 경우, 지원금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.
✅ 청년문화예술패스확인 방법
패스 발급 여부 및 사용 내역은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또는 협력 예매처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필요할 경우 고객지원센터(1577‑1968)에 문의하여 확인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
✅ Q&A
Q1. 중도 회수가 되는 경우가 있나요?
네. 신청 후 2025년 6월 30일까지 예매 및 사용 실적이 없는 경우, 지원금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.
Q2. 지원 대상자가 아닌데 신청할 수 있나요?
아니요. 이 사업은 2006년 출생자, 즉 2025년 기준 만 19세 대한민국 국적 청년만 신청 가능합니다.
Q3. 공연 외에도 전시 관람에도 사용할 수 있나요?
네. 미술, 공예, 애니메이션, 캐릭터 전시 등을 포함한 전시 관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